728x90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예:www.example.com)을 입력하면 이를 **IP 주소(예: 192.0.2.1)**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DNS의 주요 역할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입력한 도메인 이름을 해당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하여 연결합니다.
- 서버의 위치 은닉: 사용자가 직접 IP 주소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버 위치가 은닉되어 보안성을 높입니다.
- 서비스 연속성 보장: IP 주소가 변경되어도 도메인 이름은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제공될 수 있습니다.
DNS의 동작 과정
- 사용자 요청: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 캐싱 확인: 로컬 캐시 또는 웹 브라우저 캐시에서 IP 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있다면, 해당 IP 주소로 연결합니다.
- DNS 조회 순서:
- 1차 요청: 로컬 DNS 서버(보통 인터넷 제공업체의 DNS 서버)에 요청하여 IP 주소를 조회합니다.
- 재귀적 조회: 로컬 DNS 서버에서 IP 주소를 찾지 못하면, 루트 네임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 TLD 네임서버: 루트 네임서버는 .com, .org 등의 TLD(최상위 도메인) 네임서버로 요청을 전달합니다.
- 권한 있는 네임서버: TLD 네임서버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권한 있는 네임서버로 요청을 보냅니다.
- 응답 반환: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서 IP 주소를 반환하면, 최종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여 연결합니다.
주요 DNS 기록 유형
- A 레코드: 도메인 이름을 IPv4 주소와 연결합니다.
- AAAA 레코드: 도메인 이름을 IPv6 주소와 연결합니다.
- CNAME 레코드: 별칭 도메인을 본래 도메인으로 연결합니다.
- MX 레코드: 이메일 서버를 지정하여, 도메인으로 이메일을 보낼 때의 경로를 설정합니다.
- NS 레코드: 해당 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서버를 정의합니다.
DNS의 중요성
DNS는 인터넷에서 도메인 기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인프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인터넷 경험을 제공합니다. DNS가 없으면 사용자는 IP 주소를 기억하고 입력해야 하며, 도메인 이름을 통한 편리한 접근이 불가능해집니다.
728x90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블로킹 vs 논블로킹(Blocking vs Non-blocking) (0) | 2024.10.30 |
---|---|
[네트워크] 쿠키와 세션 차이(Cookie & Session) (0) | 2024.10.30 |
[네트워크] GET방식과 POST방식의 차이 (1) | 2024.10.30 |
[네트워크] RESTful의미와 설계규칙 (0) | 2024.10.30 |
[네트워크] 공개키 암호 & 대칭키 암호 (0) | 2024.10.30 |